화훼장식 분화상품 제작
■분화상품 재료 및 작업준비
상품을 제작하기 전 구매된 상품이 구매 계획에 맞게 구입되었는지 '거래명세서' 와 비교확인하고
식물의 수량과 생육 상태에 문제가 없는지를 '검수서' 에 작성하여 보관한다
■토양
토양은 1)일번토양 2)유기질토양, 3) 인공토양 으로 나뉜다.
식물에 따라 보수성, 배수성, 통기성이 각각 다르다.
1)일반토양
- 점토: 보수성은 높고 배수성, 통기성은 약해 부옆토랑 함께 사용한다.
- 모래: 통기성은 좋으나 점토질이 없어 보수력이 약하다.
- 물이끼: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며, 보수력과 통기성이 좋다.
- 바크: 소나무의 껍질을 분쇄한 것으로 통기성이 좋으며 주로 난재배에 사용된다.
- 마사토: 모래질 토양으로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아 혼합토 및 상토의 역할로 사용된다. 3가지 정도 구분되어 판매된다.
2)유기질토양★
- 부엽토: 풀, 낙엽으로 오랜 시간 부식되어 이루어진 토양이다.
- 피트모스: 습지에서 물이끼, 수생식물 등이 오랜시간 퇴적되고 부식되어 만들어진 토양이다.
- 퇴비: 우돈, 돈분, 계분 등을 톱밥이나 볏집 낙엽 등과 섞어 부숙시킨 후 사용한다.
3)인공토양★
- 경석: 가볍고 통기성과 보수력이 좋아 선인장이나 난류의 재배에 적합하다.
- 버미큘라이트: 질석을 고온으로 처리한 것으로 통기성, 보수성이 좋고 매우 가법다.
- 펄라이트: 진주암을 분쇄한 후 750℃이상의 고온에서 처리한 것으로 백색의 다공질이다.
- 암면: 현무암,안산암등 화성암을 1600℃ 에서 용해시킨 다음 공기와 수증으로 불어서 만든 섬유로 가볍고 통기성, 보비력 및 보수력이 좋다.
- 하이드로 볼: 800℃ 의 높은 온도에서 점질토를 팽창시켜 구워내어 돌처럼 만들었다.
* 배양토의 조건: 보수성, 배수성, 통기성, 충분한 양분, 병충해가 적은 토양★
* 토양의 3요소: 토양입자, 공기와 물, 유기물★
■용기
- 흙 화분(토분): 보수성, 흡수성, 통기성이 매우 좋으나 겨울에 동파되거나 견고하지 못하다.
- 도자기 화분: 모양이 아름답고 온도의 변화가 적지만 통기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 플라스틱 화분: 값이 싸고 가벼우며 바닥을 통한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다.
- 돌 화분 : 흙이 마르지 않고 내구성이 강하며 다양한 모양 제작이 가능하나, 무게로 인한 장소 이동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 메탈 화분: 모양과 컬러가 다양하고 코팅 처리 된 것이 좋다.
- 비닐 화분: 가볍고 쉽게 옮길 수 있어 모종 또는 미니 상품 제작에 많이 이용된다.
- 고무 화분: 깨지지 않고 이동이 쉬우면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 옹기 화분: 황토로 만들어져 통풍이 좋고 운치가 있다.
■배수 보조 재료
- 발포 스티로폼: 배수성이 좋고 무게가 가벼워서 높고 큰 화기 바닥에 깔아 사용한다.
- 자갈: 화기 바닥에 깔아주어 토양 유실 방지 및 원활한 배수에 도움을 준다.
- 컬러스톤: 투명한 화분이나 수경 식물에 미적 관상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 배수망: 화기 바닥에 깔아 토양 유실 방지에 도움을 준다.
■분화상품 제작 및 식물관리
1)분화상품 디자인★★★
- 테라리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용기에 작고 아름다운식물들을 배치하여 기르는것을 말합니다. 물 관리 조건이나 광 요구도가 비슷한 식물들을 함께 사용하는게 좋다.
- 비바리움: 비바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테라리움의 변형된 형태로 작은 동물류(뱀,도마뱀,이구아나)나 곤충류 등을 식물과 연출한다.
- 아쿠아리움: 유리 용기 속을 작은 연못처럼 꾸며 수생식물과 물고기, 거북이 등을 함께 키우는 것을 말한다.
- 디시가든: 1960년대 미국에서 유행하던것으로 접시나 용기에 정원의 형태를 구성하는 디자인이다.
- 수경재배: 토양 없이 물과 무기양분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을 기르는 것이다
- 숯부작: 참숯조각을 기반으로 식물을 심어 장식해 놓은 것을 말합니다.
- 토피어리: 식물의 원래 수형을 유지하지않고 인위적인 가지치기로 각종 동물이나 기하학적 형태로 식물을 구성하는 것이다.
- 걸이분: 공간 사이사이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장식하기 위해 사용한다.
- 윈도우가든: 햇볕이 잘드는 창가나 베란다에서 꽃과 식물, 채소류를 가꿀 수 있게 만든 정원이다.
- 워터가든: 배수 구멍이 없는 투명한 화기나 옹기에 물을 채우고 돌과 첨경물, 식물 등 재료를 이용하여 정원처럼 만든 것이다.
(*워터가든에 적합한식물: 아이비, 스킨답서스, 시페루스, 싱고니움, 산호수, 접란, 히야신스, 튤립, 수선화 등)
■관수 및 배수
수분은 식물체를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광합성 작용의 원료가 되며, 물질 운반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관수를 통해 토양속의 공기 교체 역할도 이루어 진다.
1)관수의 요령
- 식물의 생육, 온도, 토양 뿌리, 화분의 종류, 크기에 따라 관수가 달라진다.
- 한 여름의 아주 더운 시간대 또는 한 겨울의 가장 추운시간대를 피해 관수한다.
- 물은 화분 아래까지 충분히 흘러 나올 정도로 흠뻑 준다.
- 물이 잘 빠지지 않거나 너무 빨리 빠진다면 토양을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2)관수의 종류★★
- 점적관수: 호스를 연결하여 식물에 필요한 만큼 물을 방울방울 뿌려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 전면관수: 일번적인 방법으로 식물 주위 토양 표면에 전면적으로 관수하는 방법입니다. 직접관수라고도 한다.
- 저면관수: 재배에서 모세관수에 의하여 밑에서부터 물을 흡수하게 하는 방법이다.
- 스프링클러: 파이프에 연결관 최전 살수 노즐을 통해 넓은 지역을 고르게 관수 할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분수관수: 플라스틱 튜브 등에 작은 구멍을 일정하게 뚫어 물에 가해진 압력으로 관수 하는 방법이다.
'꽃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훼장식기능사 독학하기- 요약정리, 시험보기전 한번만 읽어보자!(화훼장식 식물관리) (0) | 2022.06.10 |
---|---|
화훼장식기능사를 위한 핵심요점 -시험보기전 한번만 읽어보자!(절화상품 재료구매)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