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공부

화훼장식기능사 독학하기- 요약정리, 시험보기전 한번만 읽어보자!(화훼장식 식물관리)

그렇다면우린 2022. 6. 10. 18:34
반응형

화훼식물재료 분류

■식물학적 분류

식물의 특성을 구별하고 유연관계를 따져 만드 학술적인 분류이다.

식물학적 계층구조는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 계  의 순서로 가장 큰 단위는 '계' 이다.

린네: 식물 분류학자로 모든식물은 린네가 확립한 이명법에 따른다.

이명법: 속명과 종명으로 구성되는 명칭이다.

 

1)학명은 '국제식물명명규약(ICBN)'에 따라 전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한다.

2)보통명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부편적이름으로 나라, 지역,언어,자생지에 따라 다르다.

-장점:이해하기 쉽고 부르기 편하며 이미 잘 알려진 경우가 많다.

-단점: 나라나 지역의 차이가 심히 학술적으로 또는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비과학적이다

 

■원예학적 분류

식물을 생육 및 재배 특성,번식, 취급 편의를 고려하여 인위적으로 분류한 것이다.

1)일,이년초

-춘파일년초: 봄에 파종하며 여름~가을에 꽃이 핀다.

-추파일년초: 파종후 이듬새 봄에 생장하여 꽃이 핀다.

-이년초: 꽃을 피우기까지 2년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초화류이다.

 

2)숙근초

겨울에 뿌리 또는 전체가 살아남아 여러해동안 생육하는 초본성 화훼류이며 주로 영양번식을 한다.

-노지숙근초: 겨울에 뿌리만 살아 생육하는 종류이다.

-온실숙근초: 겨울에 지상부도 죽지않고 생육하는 종류이다.

 

3)구근식물★

숙근초의 일종으로 잎, 줄기, 뿌리중 일부가 비대해져 저장기능을 갖으며, 주로 영양번식을 한다.

 

형태별 분류

-인경(비늘줄기): 잎줄기 아랫부분이 변형된 형태이다.(나리,튤립,아마릴리스 등)

*유피인경: 얇은 피막이 있는 종류( 튤립,아마릴리스, 히아신스, 수선화 등)

*무피인경은: 얇은 피막이 없는 종류(나리, 프리틸라리아 등)

-구경(알줄기): 줄기의 마디 아랫부분이 비대해진 형태이다.(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등)

-괴경(덩이줄기): 지하 줄기의 끝이 비대하진 형태이다.(감자,아네모네,시클라멘,칼라 등)

-근경(뿌리줄기): 땅속으로 뻣는 뿌리 모양의 줄기형태이다.( 연꽃, 칸나, 생강,붓꽃 등)

-괴근(덩이뿌리): 뿌리가 비대해진 형태이다.(고구마, 다알리아,라넌큘러스 등)

 

시기별 분류

-춘식구근: 봄에 심는 구근류로 대부분 아열대 원산으로 노지월동이 불가하다(.칸나, 칼라, 글라디올러스, 아마릴리스, 다알리아등)

-추식구군: 가을에 심는 구군으로 이듬해 꽃이 핀다.(수선화, 튤립, 히야신스, 무스카리, 크로커스 등)

 

4)관엽식물

잎을 관상하는 식물로 대부분 열대, 아열대 원산으로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좋아하며, 그늘이나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행운목, 몬스테라, 고무나무, 스킨답서스, 크로톤,팔손이, 디펜바키아 등)

 

5)난초과 식물

열대에서 온대지역까지 전세계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원산지에 따라 열대산(서양란)과 온대산(동양란)으로 구분한다. 비교적 수명이 길고 형태가 아름다워 관상 가치가 높다. 생태학적으로 땅속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지생란과 나무, 바위에 고착생활을 하는 착생란으로 구분한다.

-동양란: 잎이 가늘고 향이 좋고 은은한 멋이 있다.춘란, 하란, 추란, 한란 등으로 구분한다.(대부분 지생란)

-서양란: 고온다습한 환경의 열대, 아열대지방에서 자생사는종류로 꽃이  크고 화려하지만 향기는 거의 없다.(대부분 착생란)

 

6)선인장과 다육식물

-다육식물: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식물을 말한다.

-선인장: 줄기나 잎이 가시나 털로 덮인 것을 말한다.

 

7)화목류와 관상수

-교목: 주 줄기가 분명하고 가지가 위로 분지하여 주로 위로 자라는 식물이다.(배롱나무, 벚나무, 은행나무 등)

-관목: 주 줄기가 분명하지 않으며, 가지가  옆으로 뻗는 식물이다.(장미, 쥐똥나무, 개나리, 조팝나무 회양목 등)

-덩굴성 식물: 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다른 물체가 식물에 붙거나 감으며 자라는 식물이다.(덩굴장미, 담쟁이덩굴, 아이비, 등나무, 능소화 등)

 

-꽃을 감상: 장미, 모란, 라일락, 벚나무 등

-잎을 관상:삼나무, 향나무, 소나무, 단풍나무, 파키라 등

-열매를 관상: 남천, 자금우, 모과, 죽절초 등

 

-온실화복: 부겐빌레아, 동백, 꽃기른, 자스민 등

-노지화목: 벗나무, 목련, 조팝나무, 개나리, 진달래 등

 

8)허브류

식용, 약용, 향신료 등으로 이용하며 꽃, 종자, 잎, 줄기, 뿌리 등을 사용한다. 예로부터 약초로 사용했으며 방부, 살충제로 사용되기도 했다(라벤더, 로즈마리, 바질, 민트 ,고수 등)

 

9)수생식물

-정수식물: 뿌리는 물속에 있으며, 줄기나 잎으 일부는 물위로 뻗는 식물(연꽃, 부들, 갈대 등)

-부엽식물: 뿌리는 물속 토양에 있으며, 잎은 수면에 떠있는 식물(수련, 가래, 마름 등)

-침수식물: 식물체 전체가 물에 잠겨있는 식물(물수세미, 검정말,붕어마름 등)

-부유식물: 식물체 전체가 물위나 물속을 떠다니는 식물(개구리밥, 부레옥잠, 물상추 등)

 

10)야생식물

들, 산지에 자생하는 식물이나 그 중 관상 가치가 높아 인위적으로 번식을 통해 이용하는 식물(앵초, 참나리, 마삭줄, 석산 등)

 

11)식충식물

특수한 기관을 통해 곤충이나 작은 동물 등을 잡아 필요한 양분을 얻어 생육하는 식물(네펜데스, 파리지옥, 끈끈이 주걱 등)

 

반응형